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Care

맹장염 초기 증상 - 맹장 터지는 이유

흔히 맹장은 필요 없는 장기라고 해서 맹장에 염증에 있으면 쉽게 떼어 내고,

 

심지어 다른 질병으로 복강을 개복할 때 같이 떼기도 했었지요.

 

정말 맹장은 필요가 없는 장기 일까요?

 

필요도 없으면서 염증을 만들고 터지면 골치만 아픈 걸까요?

 

 

 

 

우리 몸에 필요하지 않은 장기란 없습니다.

 

우리 몸은 우리가 생각하는 어떤 것 보다도 정교하고 실용적으로 움직이는 시스템입니다.

 

일단 맹장이 어디 있는지부터 알아보죠.

 

 

맹장의 위치

 

 

맹장의 소장과 연결되어 있으며 대장이 시작하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맹장염이라고 말하는 곳은 정확하게는 맹장 아래 붙어 있는 충수입니다.

 

 

 

 

또 남,여의 맹장의 위치가 다르다고 하는 사람이 있는데요 이또한 잘못된 상식입니다.

 

맹장은 누구나 오른쪽 아랫배에 위치 하고 있습니다.

 

충수는 맹장 아래 6~9cm 정도로 돌기 모양으로 있는데요.

여기에 염증이 생긴 것을 우리는 맹장염이라고 하고 사실은 충수염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한때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는 다고 알았던 충수는 사실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맹장은 우리 몸에 필요한 유익균이 자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유익균의 우리몸의 면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충수를 면역기관이라고 부른 사람도 있습니다.

 

대장은 우리몸에서 노폐물이 빠져 나가는 곳으로 가장 많은 세균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그래서 가장 많은 유산균이 있는 곳이기도 하지요.

 

 

그런 대장이 시작하는 입구에 이런 유익균을 증식하는 충수가 배치 되어 있는 것입니다.

 

 

 

 

우리몸 정말 치밀 하게 만들어 졌죠?

 

또한 소장과 바로 연결된 입구로써 수분과 염분을 재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맹장이 필요 없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물론 요즘은 병원에서도 함부로 수술을 하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염증이 생기고 문제가 있다면 수술을 해야겠지요.

 

 

 

 

충수염이 생기는 원인은 이물질이 차거나, 염증으로 인해 협착(달라붙는 것)이 생기는 등의 원인입니다.

 

충수염의 증상은 식욕저하나, 구토의 증상이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 별다른 통증이 없거나 옆구리 통증만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충수에 염증이 가득 차서 터지기 직전에 가면 걷기 힘들 정도 큰 통증을 동반을 하고 만약 염증이 터지게 되면 복막염까지 번질 수 있으므로 주의를 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복경 강 수술로 비교전 간단하게 수술을 진행하지만 9m가량 되는 장들이 제자리를 잡아야 일반 식사가 가능합니다.

장이 자리를 잡았는지 알 수 있는 것이 바로 '방귀'입니다.

 

따라서 어떤 수술이든 '방귀'가 나와야 식사가 가능하다는 것은 장을 한번 뒤집었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처럼 어쩔 수 없는 경우에는 제거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당장 제거 한다고 어떤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충수가 없는 사람들은 유익균을 증식하는 기관을 하나 잃어버린 것입니다.

 

이런 분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장의 건강에 더욱 주의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