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Care

손목 결절종 주의 사항과 대처법

인체에 어는 곳이든 아프면 불편하기 마련인데요 특히 손이나 손목에 통증이 오면 많은 고통이 옵니다.

 

손으로 하지 않는 일이 없으니 말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손목에 자주 생기는 질병 손목 결절종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손목에 물혹이 생긴것을 손목 결절종이라고 합니다.

이 물혹은 정확하게는 손목에 힘줄 혹은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막에 관절액이 차오른 것입니다. 

 

이런 관절약은 투명하고 젤리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물혹이으로 표현하곤 합니다.

 

이런 손목 결절종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데요 손목 위와 아래뿐만 아니라 손가락이나 손등에도 발생을 합니다.

어떤 증상이 있을까요?

 

외간으로 혹처럼 튀어 올라오고 통증을 동반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혹은 아직 보이지 않고 통증만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왜 생긴는 것일까?

 

 

10~30대 위주의 주로 젊은 층에게서 많이 발생합니다.

주로 여성분들에게 많이 생기고 컴퓨터 키보드를 많이 쓰는 청소년들에게도 주로 발생을 하는데요.

 

이처럼 손목을 많이사용하고 손목에 힘을 많이 가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발생을 합니다.

 

손목에 관절액이 흘러 나오는 이유는 이런 진액이 부족해서 흘러나오기도 합니다.

 

치료방법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손목 결절종은 가장 흔하게 생기는 종양인데요. 종양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겁을 내지만 종양이 모두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이런 종양은 몇개월 혹은 몇 년 동안 지속되다가 자연적으로 치유가 되기도 합니다.

 

통증 또한 증상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고 합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물혹이 커지거나 통증이 심화되면 결코 단순하게 치료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주사로 물혹을 빼내어 제거를 하거나 터트려 제거를 합니다. 하지만 재발이 잘 되고  증상에 따라 수술로 완전히 재거를 하기도 합니다.

 

한방치료로는 침을 맞거나 한약을 통해 치료를 하는데요.

 

관절액이 부족해서 진액을 잘 생성되게 하는 한약을 처방하기도 합니다.

 

 

주의 사항은 없을까요?

 

 

1. 책상과 의자의 높이를  맞추고 바른 자세를 유지한다.

 

2. 무거운 것을 들지 않는다.

 

3. 손목에 무리가 되는 운동을 하지 않는다.

 

4. 가벼운 손목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 준다.

 

5. 영양소를 골고루 섭취하여 내 몸에 진액이 잘 만들어질 수 있게 해 준다.

 

손목 결절종은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해 진액이 잘 나오지 않아 발생이 되기도 하지만,

여기에 바른 못한 자세로 컴퓨터를 오래 하거나 손목에 무리를 많이 주는 행동을 같이 하는 경우에 발생이 되는 것이니 만큼 생활의 자세나 습관을 고치는 것이 우선이 돼야 할 것입니다.

 

 

병원의 치료뿐만 아니라 이런 생활습관을 교정함으로 손목 결절종의 재발을 막을 수 있습니다.

 

손목 결절종이 오래된다고 해서 약성 종양인 암으로 발전하거나 하는 종양은 아닙니다.

 

손목에 무리가 오는 것은 손목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악영양을 줄 수 있는 것입니다.

 

내가 하고 있는 작은 습관을 바꾸는 것이 조금 더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